세계일보
메뉴보기메뉴 보기 검색

공부 잘하는 동네일수록 자퇴 많다? 강남 3구 ‘학업중단 1위’… 왜?

입력 : 2025-08-10 10:38:02
수정 : 2025-08-10 11:10:24
폰트 크게 폰트 작게
SKY 합격자 중 검정고시 출신 37% 급증… 내신 부담이 원인
서울 시내 한 입시학원 강의실에서 학생들이 수업을 듣고 있다. 최근 강남 3구 일반고 학업중단율이 높아지며 ‘수능 올인’을 선택하는 학생이 늘고 있다. 뉴스1

 

서울에서 일반고를 다니다가 중도에 학교를 떠나는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이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인 것으로 나타났다. “내신으로는 승부가 어렵다”라고 판단한 학생들이 ‘수능 올인’을 선택하며 잇따라 자퇴하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10일 한국교육개발원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일반고 학업중단율 1위는 강남구와 서초구(각 2.7%)였다. 송파구가 2.1%로 뒤를 이었다. 재학생 100명 중 최소 2명 이상이 학업을 중단하는 셈이다. 한 학년에 300명이 다니는 학교라면, 학년별로 평균 6~8명이 공교육을 떠난다.

 

강남 3구의 일반고 학업중단율은 해마다 눈에 띄게 오르고 있다.

 

강남구의 경우 2021년에는 1.4%에 불과했지만, 2022년 1.9%로 뛰었고 2023년에는 2.2%를 기록했다. 이어 지난해에는 2.7%까지 올라 3년 만에 거의 두 배 수준이 됐다.

 

서초구도 비슷한 흐름이다. 2021년 1.3%였던 학업중단율은 2022년 2.4%로 급등했고, 2023년 잠시 1.8%로 낮아졌다가 2024년 다시 2.7%로 치솟았다.

 

송파구는 2021년과 2022년 각각 1.0%, 1.6%로 비교적 낮은 편이었지만, 2023년과 2024년 모두 2.1%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2%대를 유지했다.

 

이른바 ‘강남 8학군’에서는 내신 성적 압박이 학업중단의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한 번 시험에서 삐끗하면 성적 회복이 어려운 구조여서, 차라리 학교를 그만두고 검정고시 후 수능 성적으로만 대학에 도전하는 경우가 많다.

 

이 같은 흐름은 통계에서도 확인된다. 올해 SKY(서울대·고려대·연세대) 신입생 중 검정고시 출신은 259명으로, 전년 대비 37.0%(70명) 늘며 최근 8년 새 가장 많았다.

 

전문가들은 내신 5등급제 도입으로 상황이 더 악화될 수 있다고 본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5등급제에서는 상위 10%에 들지 못하면 곧바로 2등급(11~34%)으로 내려간다”며 “1등급을 받지 못한 학생들 사이에서 자퇴 고민이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