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일 항저우 아시안게임 한·중 남자축구 8강전 클릭 응원에 해외 IP(인터넷주소) 2개가 전체 해외 IP 클릭 응원의 99.8%를 차지한 것으로 확인됐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정부·여당은 여론조작 세력에 대한 발본색원 방침을 밝히고 이를 위해 범부처 TF(태스크포스)를 구성하기로 했다.
4일 카카오 다음에 따르면 한·중 8강전 당시 약 3130만건의 클릭 응원이 있었다. 한국 응원이 6.8%(211만건), 중국 응원이 2919만건(93.2%)이었다.

클릭 응원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된 IP 5591개가 만들어낸 총 클릭 응원 수 2294만건 중 86.9%(1993만건)는 해외 IP를 이용한 것이다. 1993만건 분석 결과 2개 IP 비중이 99.8%(1989만건)에 달했다. 접속 국가는 네덜란드가 1539만건, 일본이 449만건이었다. 해당 IP의 클릭은 경기가 끝난 2일 0시30분쯤부터 이뤄졌고, 이와 함께 중국 응원 클릭이 급증했다. 해외 IP 이용자 정보는 확인되지 않았다. 다음은 서비스 취지를 훼손시키는 중대한 업무방해 행위로 간주하고 경찰에 수사를 의뢰하기로 했다.
다음은 이용자가 적은 심야시간대 2개 IP가 매크로 프로그램을 활용해 만들어낸 이례적인 현상으로 파악하고 있다. 클릭 응원은 2015년 3월 도입한 서비스로, 로그인하지 않고도 누구나 횟수 제한 없이 응원할 수 있다. 로그인 서비스에는 매크로 방지 시스템이 적용돼 있지만, 비로그인 서비스인 클릭 응원은 그렇지 않았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긴급 현안 보고를 받고 ‘여론 왜곡 조작 방지 대책’ 마련을 위한 범부처 TF 구성을 지시했다. 방통위와 법무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유관 부처가 모여 국내외 포털 사업자들의 ‘가짜 여론, 가짜뉴스 방지 의무’ 등 재발 방지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한 총리는 “가짜뉴스는 민주주의의 근간을 뒤흔드는 심각한 사회적 재앙”이라며 “과거 ‘드루킹 사건’과 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범부처 TF를 신속하게 꾸려 가짜뉴스 방지 의무를 포함한 입법 대책과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방통위는 해외세력이 가상사설망(VPN)을 악용한 것으로 분석하면서 “이번 사태의 배후는 경찰 수사를 통해 반드시 밝혀져야 한다”며 “다음·카카오에 대한 실태 조사를 통해 현행 법령 위반 혐의가 확인될 경우 엄중한 제재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