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올해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양자점(퀀텀닷)을 발견하고 합성법을 개발한 문지 G. 바웬디(62)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 루이스 E. 브루스(80) 미 컬럼비아대 명예교수, 알렉세이 I. 예키모프(78) 나노크리스탈 테크놀러지 수석연구원 3명을 선정했다고 4일(현지시간) 밝혔다.
바웬디는 프랑스, 브루스는 미국 오하이오, 예키모프는 소련에서 태어났으나 이들의 국적은 모두 미국이라고 외신들은 전했다. 바웬디는 이날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내가 받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매우 놀랐다”는 소감을 말했다.

노벨 화학위원회는 “수상자들은 양자 현상에 따라 특성이 결정될 만큼 작은 입자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며 “이들은 나노 기술에 색깔을 입혔다”고 수상 이유를 설명했다.
양자점은 크기가 수∼수십㎚(나노미터·10억분의 1m) 수준의 작은 반도체 결정이다. 양자점의 크기를 나노 기술로 조절하면 가전자대와 전도대 사이의 밴드 갭이 달라지고 이 사이를 오가는 전자의 움직임도 제어할 수 있다. 즉 빛을 흡수해 들뜬 전자가 빛으로 방출하는 에너지 파장을 원하는 대로 통제할 수 있다는 뜻으로, 나노 기술을 이용해 입자의 크기만 다르게 해도 같은 물질에서 여러 빛깔의 선명한 가시광선이 나오게 된다.

이렇게 양자점의 크기와 모양을 조절해 원색을 거의 그대로 구현하는 기술은 삼성전자의 양자점발광다이오드(QLED) TV와 같은 초고화질 디스플레이, 암과 같은 종양의 이미지를 지도처럼 정확히 그려내 수술을 돕는 방식 등에 적용되고 있다.
이날 공식 발표 수 시간 전 위원회가 실수로 일찍 스웨덴 언론에 3명의 이름이 담긴 보도자료를 보내면서 수상자가 사전 유출되는 초유의 해프닝이 발생하기도 했다. 수상자 명단이 사전 유출된 건 노벨상을 수여한 123년 역사상 처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