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지인들에게서 받는 질문이 있다. ‘한국은 일본의 35년보다 더 긴 세월 몽골 지배를 받았다. 왜 몽골에 대해선 불편한 감정이 없느냐’는 것이다. 나는 이것을 ‘교류의 역설(逆說)’이라 부른다. 몽골 지배는 700년 이상 오래전 일이다. 무엇보다 1990년 한·몽 수교 전 양측은 현대적 접촉이나 교류의 부재로 특별한 감정이 만들어질 계기가 없었다. 일제강점기 종료는 아직 100년도 되지 않았고, 한·일은 교류를 통해 호오(好惡) 정서가 형성될 만큼 서로에게서 영향을 주고받는다. 한·일도 500년 정도 교류가 차단돼 망각의 시간을 보내면 담담히 서로 대면할 수 있을 것이라는 농담 같은 설명을 한다. 인생은 멀리서 보면 희극,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라고 했다. 관계도 멀리서 보면 환상, 가까이서 보면 현실이다. 접촉 확대로 호는 물론 불호 정서도 함께 늘어나는 것이 교류의 역설이다.
한국 동아시아연구원(EAI), 일본 아시아·태평양이니셔티브(API), 미국 한국경제연구소(KEI)의 ‘2025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에 따르면 일본에 대한 한국인의 호감도(‘좋은 인상’)는 2013년 조사 이래 가장 높은 52.4%에 달했다. 그에 비해 한국에 대한 일본인의 호감도는 6년 만에 최저인 24.8%, 비호감도(‘좋지 않은 인상’)는 역대 세 번째로 높은 51%를 기록했다. 일본에 대한 한국인의 호감도가 높아졌다지만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국제적 ‘친일도(親日度)’는 2019년 일본의 대표 광고회사 덴쓰(電通) 조사에서 20개국 중 20위, 2024년 일본 아운컨설팅 조사에서는 14개국 중 13위에 머물렀다.

지난해 방일 한국인 882만명, 방한 일본인 322만명으로 양국 국민 왕래는 1200만명에 이른다. 증가하는 상호 방문 숫자만큼 호감도가 폭등했다고 볼 수 없다. EAI·API·KEI 조사에서는 오히려 우려되는 결과가 있다. 2023년에 비해 2025년 상대국 방문 후 나쁜 인상이 유지되거나 나쁜 인상으로 바뀌었다는 응답이 양국 모두 늘었다. 한국인은 19.7%에서 25.9%, 일본인은 21.4%에서 43%로 증가했다. 교류 확대의 빛도 밝지만 그림자 또한 짙다.
한·중 사이에서도 마찬가지다. 경제 협력의 현실적 필요성과 관계없이 서로 알면 알수록 양 국민의 상호 비호감도가 상승한 것이 지난 30여년 역사였다면 지나친 표현일까. 노태우정부의 북방정책과 1989년 톈안먼(天安門) 사태 후 국제사회의 포위망을 뚫어야 했던 중국의 현실적 이해가 맞아 한·중은 1992년 수교했다. 양호한 관계를 유지하던 양국 관계는 2000년대 들어 마늘 파동과 동북공정에 대한 한국민 반발로 요동쳤다. 2010년대 문화침탈 오해와 사드 배치로 인한 중국인의 반발, 2020년대 국제적인 반중 기류 확산과 문화적 열등감에서 비롯된 중국 내 혐한(嫌韓)정서 확대로 상대에 대한 양 국민의 감정은 악화일로다. 최근엔 ‘부정 선거’ 중국 개입 음모론과 ‘윤석열 어게인’ 세력이 결합한 한국 극우의 대규모 반중 시위, 한국을 비하·모욕하는 거짓 정보를 퍼나르는 중국 네티즌의 망동이 돌출하면서 한·중 관계엔 더욱 어려운 환경이 조성됐다.
중국인 단체관광객 비자면제 조치로 교류의 역설이 우려된다. 이 제도는 관광시장 회복과 내수진작을 위해 29일부터 내년 6월 말까지 시행된다. 정부가 초점을 맞춘 불법체류 예방도 중요하지만 한·중 관계 악화 차단도 필요하다. 먼저 무비자를 시행한 제주 사례를 볼 때 중국인의 한국 법규·공공질서 위반은 혐중(嫌中) 감정을 악화시키고 이것이 다시 중국 내 반한 정서 확산에 악용되는 악순환을 만들 수 있다. 중국 공관이나 중국인 밀집지역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반중 시위도 귀국 후 중국 내 반한 감정을 자극할 수 있다. 당국이 여행사, 항공사 등을 통해 방한 중국인이 국내 법규·질서를 준수하도록 적극 계도해야 하는 이유다. 반중 시위대에게는 국익을 위한 대국(大局)을 보도록 요청할 필요도 있다. 안일한 준비로 잡음만 커지면 얻는 것보다 잃는 게 많은 어설픈 조치라는 비난을 면치 못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