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 부동산 대책 시행 후 서울 집값이 2주째 오름세를 늦추며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대출규제 강화와 토지거래허가구역 실거주 의무로 갭투자 수요가 막히자 거래가 급감하고, 시장 전반에 관망 분위기가 짙어졌다. 다만 매물 부족 여파로 가격 자체는 여전히 오름세를 이어가고, 규제를 피한 일부 경기 지역에서는 ‘풍선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2주 연속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1월 첫째 주(11월 3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19% 상승해 상승폭이 0.04%포인트 줄었다. 대책 직전인 10월 중순 0.5%까지 치솟았던 상승률이 0.23%, 0.19%로 연속 하락하며 뚜렷한 둔화 흐름을 보였다.
성동(0.29%)·마포(0.23%)·광진(0.15%) 등 한강벨트 주요 지역의 상승률이 줄었고, 송파·동작·강동 등 강남권도 상승세가 다소 완화됐다. 반면 화성(0.26%)·구리(0.52%)·용인 기흥(0.21%) 등 규제에서 벗어난 경기 외곽 지역은 오히려 상승폭이 확대됐다.
부동산 플랫폼 아실 집계에 따르면 서울 매매 매물은 한 달 새 약 1만 건 줄어 6만 4000 건 수준으로 감소했다. KB국민은행 박원갑 수석전문위원은 “갭투자가 막히면서 거래는 급감했지만 매물 부족으로 가격이 쉽게 꺾이지 않는 ‘고원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전세가격은 서울이 0.15% 오르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특히 세종시는 0.36% 급등해 지방 상승세를 견인했다.

